학위논문 요양병원 화재안전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8-03-12 14:31 조회 2,556회 댓글 0건본문
관련링크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요양병원 화재안전관리 개선 방안에 관한 연구
(A)study on the improvement of fire safety management in a medical care hospital
- 저자
- 서정희
- 발행정보
- 목포대학교 2015년
초록
세월호 참사 이후 사회전반에 대한 안전문제가 이슈화되고 있는 가운데 금년 5월 28일 장성 요양병원에서 화재가 발생하여 28명의 인명피해가 발생하면서 요양병원의 안전문제도 부각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화재에 취약한 요양병원이 다수 있을 뿐만 아니라 그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으며 화재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형참사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 연구는 요양병원의 운영관리, 시설과 안전점검, 매뉴얼 개발과 교육훈련, 법과 제도 등 개선 방안을 제시하여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및 화재 대응능력을 향상시킴으로써 인명피해 및 재산피해를 최소화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 방법은 문헌적 연구방법과 실증적 연구방법을 이용하였으며, 연구 범위는 크게 내용상·시간상·공간상으로 구분하여 진행하였다. 요양병원 화재안전관리 개선 방안의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요양병원의 운영관리의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요양병원 특성을 반영한 화재안전관리의 종합계획의 수립과 이행, 야간근무 및 휴일근무의 최소인원확보 배치 운영, 입원환자의 자력대피 유무를 반영한 층별 환자 배치, 소방시설 및 소방용품 점검자 지정관리, 화재발생 시 입원환자 대피계획 수립 등이다. 다음으로, 요양병원의 시설 및 안전점검 개선방안을 제시했다. 그 내용은 소방시설 등 작동기능점검 및 종합정밀점검의 자체점검 강화, 소화설비의 스프링클러(간이스프링클러 포함) 및 경보설비의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 2층 이상의 층별 대피용 경사로 또는 발코니 설치 및 환자 및 근무자의 긴급대피용 간이호흡보호기구 비치, 2층 이상의 층별 무동력승강식피난기 설치 및 제연설비 및 배연설비 설치, 병원 내 방염물품 사용 및 신속한 대피를 위한 방화문의 자동개폐장치 설치 등이다. 세 번째로, 요양병원의 매뉴얼 개발 및 교육훈련을 제시했다. 그 내요은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표준 매뉴얼 개발안, 소방계획서에 의한 연간 교육훈련계획 이행, 관계인 및 근무자와 거동가능 환자의 매뉴얼 숙지 교육, 매뉴얼에 의한 휴일 및 야간 근무자의 소수인원 훈련 등이다. 네 번째로, 요양병원관련법과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그 내용은 요양병원 화재안전관리의 관련법 개선, 요양병원의 설립 허가 시 소방관서 현장 확인, 병원 인증평가 시 화재안전관련 평가 강화, 복합건축물 내 요양병원의 혼합설치 제한, 요양병원 신규 허가 시 강화된 시설 적용, 요양병원에 표준 매뉴얼 배부 등이다. 이와 같이 이 연구에 제시한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개선 방안을 적용하여 화재안전망을 구축한다면, 요양병원에서 화재 등 재난이 발생했을 때 대형 참사를 막을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hile the safety problem in the society at large is more politicized after the Sewol ferry disaster, the safety matter in a medical care hospital is being magnified after a fire broke out in a medical care hospital in Jangseong making 28 casualties in May 28 this year. There are many medical care hospitals vulnerable to a fire and the number is increasing every year. For that reason, the danger of a tragic accident resides when there is an occurrence of a disaster such as a fire. This study aims at minimizing the damage of human life and property by suggesting the improvement such as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facility and safety inspection, manual development and training, and law and system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to improve the ability of fire safety management and fire reaction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The study methods include literary study and empirical study, and the study scope is broadly divided into the content, time, and space. The summary of the results is as below: First, the improvement of the operation and management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s suggested. The content include the establishment and implementation of the fire safety management which reflected the characteristics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placement of the minimum personnel during a night shift and holiday work, patient disposition on each floor reflecting the capability of evacuation by inpatients in their own strength, appointment and management of the inspector of fire facilities and fire equipment, and making of an evacuation plan for inpatients at the time of a fire. Next, the improvement of the facilities and safety inspection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s suggested. The content include the inspection of the operational function such as the fire protection system and enhancement of an internal inspection of the comprehensive precise inspection, installation of sprinklers(portable sprinklers included) of fire facilities and automatic fire alarm system, installation of an evacuation slope or a balcony and placement of portable breathing protective gears for evacuation of patients and workers on each floor for over 2 floors, installation of a fallback bucket elevator and smoke control system and smoke exhaustion system on each floor for over 2 floors, and use of flame proof goods in the hospital and installation of an automatic switch of a fire door for quick evacuation. Thirdly, the development of the manual and education and training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s suggested. The content include the development plan of the standard fire safety management manual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mplementation of the annual education and training plan by the fire fighting plan, complete education of the manual for the people related, workers, and movable patients, and training of a small number of holiday and night workers by the manual. Finally, the legal and systematic improvements in connection with the medical care hospital are suggested. The content include the improvement of the law of the fire safety management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on-sie confirmation of the fire department when approving the establishment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enhancement of the fire safety evaluation when evaluating for certification of the hospital, restrictions on the mixed fitting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inside a complex building, application of the strengthened facilities for a new approval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and distribution of the standard manual to the medical care hospital. It is expected that a tragic accident can be prevented when there is a disaster such as a fire in a medical care hospital if the improvement plan for fire safety management of the medical care hospital proposed in this study is applied to build a fire safety network.
목차
- 표제지
- 목차
- Abstract 10
- 제1장 서론 13
- 제1절 연구의 목적 13
- 제2절 연구의 범위 및 방법 15
- 1. 연구의 범위 15
- 2. 연구의 방법 16
- 제2장 일반적 고찰 및 선행연구검토 19
- 제1절 요양병원의 의의 19
- 1. 요양병원의 정의 19
- 2. 요양병원의 특성 19
- 제2절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에 관한 고찰 24
- 1. 화재 안전관리의 의의 24
- 2.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25
- 제3절 선행연구 검토 29
- 1. 화재안전관리 관련 선행연구 29
- 2. 병원 관련 선행연구 30
- 3. 선행연구의 시사점 33
- 제3장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실태와 문제점 35
- 제1절 요양병원의 일반현황 35
- 1. 요양병원의 일반현황 35
- 2. 요양병원의 시설 및 인력기준 37
- 3. 요양병원의 소방시설 종류와 배치 기준 39
- 제2절 요양병원 등 화재발생실태와 시사점 43
- 1. 요양병원 등 화재발생 실태 43
- 2. 병원 화재발생 실태 48
- 3. 화재발생 실태의 시사점 52
- 제3절 화재안전관리 운영실태 및 면담조사에 나타난 문제점 53
- 1. 면담조사 개요 53
- 2. 요양병원의 운영실태 확인 58
- 3. 요양병원 관계인 등 면담조사 결과 및 문제점 66
- 4. 소방공무원 면담조사결과 및 문제점 71
- 제4장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개선 방안 77
- 제1절 화재안전관리를 위한 운영관리의 개선방안 77
- 1. 요양병원 특성을 반영한 화재안전관리계획수립 시행 77
- 2. 야간근무 및 휴일근무의 최소인원확보 배치 운영 78
- 3. 입원환자의 자력대피 유무를 반영한 층별 환자 배치 78
- 4. 소방시설 및 소방용품 점검자 지정관리 79
- 5. 화재발생 시 입원환자 대피계획 수립 80
- 제2절 화재안전성 확보를 위한 시설 및 안전점검 개선방안 80
- 1. 소방시설 등 작동기능점검 및 종합정밀점검의 자체점검 강화 80
- 2. 소화설비의 스프링클러(간이스프링클러 포함) 설치 82
- 3. 경보설비의 자동화재속보설비 설치 83
- 4. 2층 이상의 층별 경사로 또는 발코니 설치 84
- 5. 환자 및 근무자의 긴급대피용 간이호흡보호기구 비치 85
- 6. 2층 이상의 층별 무동력승강식피난기 설치 86
- 7. 제연설비 및 배연설비 설치 86
- 8. 요양병원 내 방염물품 사용 87
- 9. 신속한 대피를 위한 방화문의 자동개폐장치 설치 88
- 제3절 요양병원의 표준 매뉴얼 개발(안) 90
- 1. 표준 매뉴얼 작성 개요와 예방 수칙 93
- 2. 화재발생 전 준비사항(예방대비) 94
- 3. 화재발생 시 대응활동(대응) 102
- 4. 화재진압 후 조치사항(복구) 109
- 5. 요양병원의 소방시설 등 세부 점검표 110
- 제4절 화재안전관리를 위한 교육훈련 강화 116
- 1. 소방계획에 의한 연간 교육훈련계획 이행 116
- 2. 관계인 및 근무자와 거동가능 환자의 매뉴얼 숙지 교육 116
- 3. 휴일근무 및 야간 근무자의 소수인원 훈련 117
- 제5절 요양병원의 화재안전관리 관련법 개선 118
- 1. 요양병원 화재안전 관련법 118
- 2. 요양병원 허가 시 소방관서 현장확인 121
- 3. 요양병원 인증평가 시 화재안전관련 평가 강화 122
- 4. 복합건축물 내 요양병원의 혼합설치 제한 124
- 5. 요양병원 신규 허가 시 강화된 시설 적용 125
- 6. 요양병원에 표준 매뉴얼 배포 125
- 제5장 결론 127
- 제1절 요약 127
- 제2절 연구의 한계점 130
- 참고문헌 131
- 국문초록 137
- 부록 I. 면담조사 질문지 139
- 표목차
- 〈표 2-1〉 일반병원과 요양병원의 차이 22
- 〈표 2-2〉 요양병원과 요양시설의 차이 23
- 〈표 2-3〉 선행연구 정리 32
- 〈표 3-1〉 요양병원의 설립 구분별, 종별현황 35
- 〈표 3-2〉 시도별 요양병원 현황 36
- 〈표 3-3〉 연도별 요양기관 현황 36
- 〈표 3-4〉 요양병원 등 의료기관의 종류별 시설기준 38
- 〈표 3-5〉 요양병원의 인력기준 39
- 〈표 3-6〉 요양병원의 소방시설의 종류 40
- 〈표 3-7〉 요양병원의 소방시설 기준 42
- 〈표 3-8〉 요양병원 현장방문의 면담조사 대상과 인원 54
- 〈표 3-9〉 전남소방본부 소속의 소방공무원 면담대상과 인원 54
- 〈표 3-10〉 요양병원의 관계인 등 면담대상의 기본정보 56
- 〈표 3-11〉 소방공무원의 면담대상 기본정보 57
- 〈표 3-12〉 A 요양병원의 소방시설 현황 59
- 〈표 3-13〉 A 요양병원의 실태조사 결과 및 문제점 60
- 〈표 3-14〉 B 요양병원의 소방시설현황 61
- 〈표 3-15〉 B 요양병원의 실태조사 결과 및 문제점 62
- 〈표 3-16〉 C 요양병원의 소방시설현황 63
- 〈표 3-17〉 C 요양병원의 실태조사 결과 및 문제점 64
- 〈표 3-18〉 D 요양병원의 소방시설현황 65
- 〈표 3-19〉 D 요양병원의 실태조사 결과 및 문제점 66
- 〈표 3-20〉 요양병원 관계인 등 근무자의 면담조사결과 및 문제점 69
- 〈표 3-21〉 소방공무원의 면담조사 결과 및 문제점 75
- 〈표 4-1〉 소화설비의 "스프링클러 및 간이스프링클러" 개선(안) 83
- 〈표 4-2〉 경보설비의 "자동화재속보설비" 개선(안) 84
- 〈표 4-3〉 2층 이상의 층별 "경사로 또는 발코니" 설치 개선(안) 84
- 〈표 4-4〉 소방용품의 "간이호흡보호기구" 비치 개선(안) 85
- 〈표 4-5〉 피난설비의 "무동력승강식피난기" 개선(안) 86
- 〈표 4-6〉 소화활동설비의 "제연 및 배연설비" 개선 87
- 〈표 4-7〉 소방대상물의 "방염" 개선(안) 88
- 〈표 4-8〉 방화문의 "자동개폐장치(전자잠금장치)" 개선(안) 89
- 〈표 4-9〉 요양병원의 소방관련법 개선(안) 118
- 〈표 4-10〉 소방시설공사업법 개선(안) 120
- 〈표 4-11〉 노인복지법 개선(안) 121
- 〈표 4-12〉 요양병원의 건축물 인허가 시 "현장확인"에 관한 개선(안) 122
- 그림목차
- 〈그림 1-1〉 연구의 흐름도 18
- 〈그림 2-1〉 연도별 요양병원의 증가 추이 37
- 〈그림 4-1〉 주간근무자의 자위소방대 편성 95
- 〈그림 4-2〉 야간 및 휴일근무자의 자위소방대 편성 95
- 〈그림 4-3〉 화재발생 시 대응절차 103
키워드
#요양병원화재안전관리 #화재안전 #요양병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