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인식 구조의 국가간 비교 : 사민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복지국가와 한국 > 논문 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논문 창고

학술논문 복지인식 구조의 국가간 비교 : 사민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복지국가와 한국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8-03-09 16:13 조회 3,166회 댓글 0건

본문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복지인식 구조의 국가간 비교 : 사민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복지국가와 한국

Welfare States and Welfare Attitude: A Comparison of Sweden, France, US, and Korea

저자
백정미, 주은선, 김은지
학술지정보

발행정보 한국사회복지연구회 2008년

 

초록

이 연구의 목적은 첫째, 국가간 복지인식 균열의 차이가 존재하는지를 분석함으로써 각국의 제도적 특징이 복지인식 결정구조에 어떻게 반영되는지를 살펴보는 것이다. 둘째, 한국의 경우 다른 복지레짐에 속한 국가들과 비교해 볼 때 복지인식 결정구조에 어떤 특징을 보이는지 분석하고, 한국 복지인식의 특성을 명확히 함으로써 한국복지국가 발전을 위한 연대와 분열 지점을 밝혀내고자 한다. 이는 한국복지국가 발전을 위한 전략 마련의 단초가 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우선, 각 복지레짐에 속한 스웨덴, 프랑스, 미국의 복지에 대한 국가책임 인식점수를 비교하였다. 다음으로 성, 연령, 교육수준, 소득계층, 고용지위 등이 복지인식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았다. 분석결과, 스웨덴, 프랑스, 미국은 복지에 대한 국가책임 인식에 차이를 보이며, 스웨덴, 프랑스 미국의 순으로 인식점수가 높다. 한국의 경우 미국보다 인식점수가 더 낮으며, 이 차이는 의미 있는 차이로서 한국 복지인식 구조에 대한 심층적인 해석을 필요로 한다. 국가별 복지인식 결정구조의 경우, 스웨덴과 프랑스는 복지인식 결정요인에 큰 차이가 없으며, 미국, 한국은 각각 고유한 특성을 보인다. 성, 계층, 고용지위에 대해 스웨덴, 프랑스, 미국이 동일한 결과를 보인다. 여성일수록, 소득계층이 낮을수록, 고용지위가 불안정할수록 국가의 복지책임에 대한 인식수준은 높아진다. 연령의 경우 스웨덴, 프랑스, 한국은 연령이 높을수록 복지책임 인식수준이 높아지는데 반해 미국은 반대의 결과를 보인다. 또한 미국은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복지인식 점수가 낮다. 한편 한국은 스웨덴, 프랑스, 미국과 다른 복지인식 결정구조를 갖고 있다. 여성이 오히려 남성보다 복지인식 점수가 낮으며, 계층은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러한 복지인식 구조에 대한 파악은 복지패러다임 전환을 위한 합의와 갈등 지점을 제시함으로써 복지국가 전략 구축의 기반이 된다.​ 

 

목차
  • 복지인식 구조의 국가간 비교 : 사민주의, 자유주의, 보수주의 복지국가와 한국 / 백정미 ; 주은선 ; 김은지 1
  • [요약] 1
  • I. 머리말 2
  • II. 복지레짐(welfare(weflare) regime)과 복지인식(welfare attitude) 3
  • 1. 신제도주의: 복지레짐과 복지인식 3
  • 2. 기존의 복지인식 국가간 비교 연구 5
  • III. 연구모형, 연구자료, 주요변수 12
  • IV. 분석 15
  • 1. 국가간 복지인식 수준의 차이 15
  • 2. 국가간 복지인식 영향요인 차이 17
  • V. 결론 21
  • 참고문헌 22
  • Abstract 26

 

키워드

#복지인식 #국가간비교 #계측 #성 #교육수준 #고용지위 #연령 계층, welfare attitude, comparing the welfare attitude, welfare regime, state responsibility, effect structure, class, sex, education Level, Labor status, age​ 

 

추천0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L사회지식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