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고령사회 대응 지역친화적 노인주거모델 개발 연구 > 논문 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논문 창고

단행본 초고령사회 대응 지역친화적 노인주거모델 개발 연구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8-03-05 18:44 조회 1,651회 댓글 0건

본문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초고령사회 대응 지역친화적 노인주거모델 개발 연구

저자 책임연구자: 이상림, 공동연구진: 강은나, 오신휘, 전홍규, 이한나, 박소정, 류승규
발행정보 한국보건사회연구원 2016년

목차
표제지
목차
발간사 3
Abstract 11
요약 12
제1장 서론 16
제1절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7
제2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0
제3절 노인주거 관련 선행연구 고찰 25
1. 노인주거 개념 및 지역친화성 25
2. 노인주거 관련 선행연구 고찰 27
제2장 노인주거지원 정책 현황 분석 33
제1절 주거지원 정책의 변화 34
제2절 노인주거지원 정책 현황 분석 43
제3절 소결: 국내 노인주거지원 정책 평가 53
제3장 노인주거모델 국내 사례 59
제1절 국내 노인주거모델 사례 분석 60
1. 홀몸어르신 맞춤형 공공원룸주택 보린주택 60
2. 세종특별자치시 노인복지주택 밀마루 복지마을 65
3. 경기도 성남시 아리움 71
4. 강원도 인제군 사랑의 집 74
5. 독거노인어울림생활가정 한울타리 행복의 집(그룹홈) 80
제2절 소결 84
제4장 노인 인구이동 분석을 통한 노인주거 수요 전망 89
제1절 우리나라 노인 인구이동의 일반적 특성 90
제2절 노인 인구이동 방향성 분석 94
1. 단순 이동의 방향성 94
2. 순이동의 방향성 96
제3절 노인 인구이동 순이동률 분석 102
1. 순이동률 분포 분석 102
2. 인구이동이 지역 인구구조에 미치는 영향 114
제4절 소결: 인구이동이 지역 인구구조에 미치는 영향 121
제5장 해외 노인주거모델 정책 동향 분석 123
제1절 일본 정책 동향 분석 124
1. 일본의 고령화 현황 124
2. 일본의 지역친화형 고령자 주택과 관련된 돌봄의 동향 125
3. 지역친화형 고령자 주택 관련 동향 129
4. 고령자 등 주택확보요(要)배려자 안심주거사업 추진: 공가(空家)를 활용한 공영주택의 보완 143
5. 다세대교류형 시설(=고령자 복합시설)의 개요 146
제2절 영국 정책 동향 분석 149
1. 개요 151
2. 법적 배경 154
제3절 미국 정책 동향 분석 156
제6장 결론 및 정책 제언 167
제1절 지역친화적 노인주거모델 설계 원칙 168
제2절 한국형 노인주거모델 개발을 위한 정책 제언 173
1. 노후도시형 노인주거 수요지역 176
2. 아파트 신도시형 노인주거 수요지역 177
3. 농촌형 노인주거 수요지역 178
제3절 맺음말 179
참고문헌 181
[부록 1] 일본 사례 분석 194
1. 지역친화형 고령자 주택 관련 동향 194
2/4. 고령자 등 주택확보요(要)배려자 안심주거사업 추진: 공가(空家)를 활용한 공영주택의 보완 202
3/5. 다세대교류형 시설(=고령자 복합시설)의 개요 203
[부록 2] 영국 사례 분석 212
1. 기존 집에서 계속 거주 213
2. 노년기 생활에 적합한 새로운 주택으로 이주 221
[부록 3] 미국 사례 분석 225
1. 빌리지 모델 225
2. Co-housing 모델 235
판권기 2
표목차
〈표 1-1〉 현장방문 사례 연구 대상 23
〈표 2-1〉 총 인구, 가구 수, 도시화율, 주택보급률 추이(1960~2000년) 34
〈표 2-2〉 외환위기 직후 서민주거안정 지원대책 개요 38
〈표 2-3〉 주택종합계획(2003~2012) 내 공공주택정책 개괄 41
〈표 2-4〉 노인주거복지시설 개요 47
〈표 2-5〉 노인주거복지시설별 사업 내용(노인복지법 시행규칙 별표 3) 48
〈표 2-6〉 연도별 노인복지시설 현황 49
〈표 2-7〉 공공주택정책 개요(입주자 자격 조건) 51
〈표 2-8〉 인구구조의 고령화 54
〈표 3-1〉 홀몸어르신 공동원룸주택 관리 운영 61
〈표 3-2〉 홀몸어르신 공동원룸주택 운영 현황 62
〈표 3-3〉 세종특별자치시 밀마루 복지마을 임대 조건 및 입주 현황 67
〈표 3-4〉 강원도 인제군 사랑의 집 프로젝트 추진 단계별 사업 개요 76
〈표 3-5〉 전라북도 김제시 일반 현황(2015.11.30. 기준) 80
〈표 3-6〉 국내 노인주거 사례 요약 88
〈표 4-1〉 연령에 따른 이동거리 분포 92
〈표 4-2〉 전체인구 유입/유출 시군구 지역 분포 101
〈표 4-3〉 전체인구와 노인인구의 상관관계 분석 결과 113
〈표 4-4〉 인구이동이 인구구조(노인인구 비율)에 미친 영향 114
〈표 5-1〉 일본의 고령화 현황 124
〈표 5-2〉 일본에서의 고령자 주택정책, 돌봄정책의 동향 126
〈표 5-3〉 고령자 주택과 시설의 유형과 공급량 129
〈표 5-4〉 일본의 고령자 주택(자립형) 130
〈표 5-5〉 일본의 공영주택, 기구주택, 공사주택 132
〈표 5-6〉 고령자 주거 관련 시책 134
〈표 5-7〉 서비스 지원형 고령자 대상 주택 136
〈표 5-8〉 스마트 웰니스 주택 등 추진 모델 사업 141
〈표 5-9〉 주택확보요(要)배려자 안심주거사업 추진 145
〈표 5-10〉 고령자 복합시설을 구성하는 시설 종류 148
〈표 5-11〉 4개의 NORC-지역 보건의료기관 협력 프로그램 개요 162
〈표 6-1〉 노인주거모델 개발 방향 및 전략 179
그림목차
[그림 2-1] 제2차 장기주택종합계획(2013~2022)상의 정책 패러다임 전환 42
[그림 3-1] 서울특별시 금천구청 보린주택 65
[그림 3-2] 세종특별자치시 밀마루 복지마을 70
[그림 3-3] 경기도 성남시 아리움 74
[그림 3-4] 강원도 인제군 사랑의 집 79
[그림 3-5] 전라북도 김제시 한울타리 행복의 집으로 운영되는 경로당 전경 84
[그림 3-6] 일상생활 지원 및 프로그램 지원 수준에 따른 노인주거 사례 86
[그림 4-1] 우리나라 인구이동 동향 91
[그림 4-2] 전체인구이동에서 노인인구이동의 비율 92
[그림 4-3] 서울특별시의 연령별 인구이동 경향 93
[그림 4-4] 서울 비노인인구 지역 간 인구이동 경향(2015) 95
[그림 4-5] 서울 노인인구 지역 간 인구이동 경향(2015) 95
[그림 4-6] 수도권 지역 전체인구 순이동 흐름 분석(2011~2015) 97
[그림 4-7] 수도권 지역 노인인구 순이동 흐름 분석(2011~2015) 98
[그림 4-8] 부산ㆍ울산ㆍ경남 지역 전체인구 순이동 흐름 분석(2011~2015) 99
[그림 4-9] 부산ㆍ울산ㆍ경남 지역 노인인구 순이동 흐름 분석(2011~2015) 100
[그림 4-10] 수도권 지역 전체인구 순이동 분포(2011~2015) 103
[그림 4-11] 수도권 지역 노인인구 순이동 분포(2011~2015) 104
[그림 4-12] 대전ㆍ충청 지역 전체인구 지역 순이동 분포(2011~2015) 105
[그림 4-13] 대전ㆍ충청 지역 노인인구 지역 순이동 분포(2011~2015) 106
[그림 4-14] 대구ㆍ경북 지역 전체인구 지역 순이동 분포(2011~2015) 107
[그림 4-15] 대구ㆍ경북 지역 노인인구 지역 순이동 분포(2011~2015) 108
[그림 4-16] 부산ㆍ울산ㆍ경남 지역 전체인구 지역 순이동 분포(2011~2015) 109
[그림 4-17] 부산ㆍ울산ㆍ경남 지역 노인인구 지역 순이동 분포(2011~2015) 110
[그림 4-18] 광주ㆍ전남 지역 전체인구 지역 순이동 분포(2011~2015) 111
[그림 4-19] 광주ㆍ전남 지역 노인인구 지역 순이동 분포(2011~2015) 112
[그림 4-20] 무이동 가정 시 수도권 지역 노인 비율의 변화 116
[그림 4-21] 무이동 가정 시 대전ㆍ충청 지역 노인 비율의 변화 117
[그림 4-22] 무이동 가정 시 대구ㆍ경북 지역 노인 비율의 변화 118
[그림 4-23] 무이동 가정 시 부산ㆍ울산ㆍ경남 지역 노인 비율의 변화 119
[그림 4-24] 무이동 가정 시 광주ㆍ전라 지역 노인 비율의 변화 120
[그림 5-1] 주거지원협의회 137
[그림 5-2] 실버하우징 프로젝트 140
[그림 5-3] 가장 최근 회계연도의 총예산 중 평균 비율 159
부표목차
〈부표 1-1〉 고령자 주택과 시설의 유형과 공급량 194
〈부표 1-2〉 고령자 주거 관련 시책 196
〈부표 1-3〉 서비스 지원형 고령자 대상 주택 198
〈부표 1-4〉 고령자 복합시설을 구성하는 시설 종류 206
〈부표 1-5〉 주로 직원이나 입주민 자원봉사자가 제공하는 서비스 유형이라고 답한 비율 228
〈부표 1-6〉 주로 외부 제공자 소개를 통해 제공되는 서비스 유형이라고 답한 비율 229
부그림목차
[부그림 1-1] 주거지원협의회 199
[부그림 1-2] 실버하우징 프로젝트 201
[부그림 1-3] 교육시설과의 복합화 사례 209

키워드
#노인주거지원 #노인인구
추천0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L사회지식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