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 논문 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논문 창고

연구보고서 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페이지 정보

연구소장 21-03-02 14:48 조회 1,404회 댓글 0건

본문

장애인이 지각한 사회적 차별경험이 직업유지에 미치는 영향: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The Effect of Perceived Discrimination on Job Retention in People with Disabilities: Focused on the Moder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저자 : 이병화 이송희

 

키워드

장애인, 사회적 차별, 직업유지, 생활만족도, People with Disabilities, Social Discrimination, Job Retention, Life Satisfaction Level

발행연도 : 2016-06-30

발행기관 : 한국보건사회연구원

Series : 보건사회연구 제36권 제2, pp.227-257

Journal Title : 보건사회연구

 

<초록>

본 연구의 목적은 장애인의 사회적 차별 경험과 직업유지 간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를 검증하여 근로장애인의 직업유지를 위한 효과적인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의 장애인실태조사 자료(2011)를 활용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으로는 다중회귀분석을 사용하여 사회적 차별과 생활만족도 수준이 직업유지기 간에 미치는 영향과 생활만족도가 사회적 차별과 직업유지기간 간에 조절하는지를 분석하였다. 분석대상은 20세 이상 취업장애인 1,632명의 장애인이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장애인이 겪는 장애인의 사회적 차별 중 직장내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직업유지 기간이 짧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유지기간이 긴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장애인의 직장내차별 경험과 직업유지 간의 관계에서 생활만족도의 조절효과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직장 내 차별 경험이 많을수록 직업유지 기간이 짧아지지만 생활만족도가 높을수록 직업유지 기간의 하락이 적다는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직장 내 장애인 차별에 대한 인식개선 프로그램 개발 등 장애인의 직업유지를 높이기 위한 실천적 함의를 제시하였다.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moder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in the relationship between perceived discrimination and job retention in people with disabilities. It is for figuring out the effective way to sustain the job for the working disabled. For this, the materials have been utilized and analyzed, which are of the disabled status research by Korean Health Society Research Institute in 2011. The target for analysis is 1,632 working disabled people who are above 20 years old. The result of the research is as follows. First of all, there are general social discrimination experiences which the disabled usually face with. Related to those experiences, the period of job retention gets short as much as the disabled experience discrimination at the work place. Secondly. As long as they have the high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disabled sustain their job for a long time. Thirdly, as for the relation between the disabled’s discrimination experience at the work place and job retention, the moderating effect of life satisfaction level showed a statistically meaningful result. It means that the higher the level of life satisfaction, the longer the job retention period. In contrast, while more and more they experience discrimination at work, shorter and shorter the period of job retention gets. Based on this, the study suggests practical and meaningful methods for increasing the job retention of people with disabilities

 

<목차>

. 서론

. 이론적 배경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ISSN : 1226-072X

추천0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L사회지식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