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 논문 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논문 창고

학위논문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8-02-23 18:48 조회 3,080회 댓글 0건

본문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이 조직유효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ffect to organization effectiveness in emotional labor of social welfare organization profession

저자 김동구
발행정보 배재대학교 2017년

초록
사회의 소외계층을 그림자처럼 도와주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감정표현의 빈도, 주의정도, 다양성, 부조화)이 조직유효성(조직몰입,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을 실증적으로 검증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 관계에 대해서 이론적 검토를 통해 연구모형을 설정하였고 가설도 제시하였다. 또한 충청북도 지역의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2016년 현재를 기준으로 설문지를 450명에게 배포하여 410부를 회수하 고 이중 유의미한 376부를 SPSS WIN 21,0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을 실시하였다. 충청북도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경우 기 존 연구와는 다르게 감정표현의 빈도와 감정표현의 다양성은 조직유효성(조직몰입, 직무만족)에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이 이용자와 대화 횟수가 많고, 이용자를 만나는 시간을 많이 할애 하는 등의 감정현의 빈도가 높아질수록, 조직유효성이 향상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여러 종류의 감정을 표현하고, 감정표현을 깊게 하는 감정표현의 다양성도 직무만족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그러나 하위변수로서의 감정표현의 주의정도와 감정부조화는 조직몰입과 직무만족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인식 차이를 보면 연령, 학력, 재직기간에 따라서는 감정노동의 일부 내지 세부 요인에 유의미한 인식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성별, 직급, 재직시설 형태에 따라서도 조직유효성의 일부 내지 세부 요인의 인식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고 있었다. 학력, 재직기간에 따른 조직유효성의 인식 차이는 없는 것으로 결과가 도출되었다. 연령에 따른 인식 차이 결과에서도 50대와 60대 이상의 연령층에 비해 40대 30대 20대의 종사자들이 감정표현을 위해 주의를 기울이고, 다양한 감정표현을 하며 감정부조화를 더 많이 느끼고 있었다. 또한 개인시설의 종사자들이 직무만족도가 높은 반면에, 기능직 종사자들의 직무만족도는 낮은 것으로 결과과 도출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충청북도 지역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로 국한하였으나, 사회복지 종사자 전체를 대상으로 연구한다면 더욱 효과적이고 세밀한 연구 결과가 도출되리라 여겨진다. 본 연구 결과로 볼 때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의 감정노동은 긍정적인영향과 부정적인 영향을 함께 미칠 수 있다는 결과를 토대로, 감정표현의 다양성은 살려주고, 감정표현의 주의정도와 감정부조화를 약화시킬 수 있는, 사회복지시설 종사자들에 대한 상담이나 치료 프로그램 등 정부차원에서의 정책적 대안이, 필요하다는 시사점이 있다 하겠습니다.

목차
국문초록 Ⅰ
목 차 Ⅳ
그림목차 Ⅵ
표 목 차 Ⅶ
제1장 서 론 1
제1절 연구의 배경과 필요성 1
제2절 연구의 목적 3
제3절 연구의 범위와 방법 5
1. 연구의 범위 5
2. 연구의 방법 6
제2장 이론적 검토 7
제1절 감정노동 7
1.감정노동의 개념 7
2.감정노동의 구성요소 11
3.감정노동의 차원 13
4.사회복지조직 종사자들의 감정노동 15
제2절 조직유효성 17
1. 조직몰입의 개념과 주요 구성요소 18
2. 직무만족의 개념과 주요 구성요소 23
제3절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의 관계 28
제3장 연구 설계 31
제1절 연구모형과 가설설정 31
1. 연구모형의 제시 31
2. 연구의 가설 설정 33
제2절 변수의 조작적 정의 35
1. 감정노동 35
2. 조직유효성 35
제3절 설문지 구성 37
제4절 연구분석방법 38
1. 자료수집 38
2. 통계분석방법 38
제4장 연구결과 및 논의 39
제1절 인구사회학적 특성 분석 39
제2절 측정도구의 신뢰도 검증 41
제3절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의 영향 관계 분석 42
1. 감정노동과 조직유효성간의관계 42
2. 감정노동과 조직몰입간의 관계 46
3. 감정노동과 직무만족간의 관계 50
4. 영향 관계 분석 가설검증 54
제4절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른 차이 분석 57
1. 인구특성에 따른 감정노동 인식 차이 57
2. 인구특성에 따른 조직몰입 인식 차이 71
3. 인구특성에 따른 직무만족 인식 차이 83
제5장 결 론 95
제1절 연구의 요약 95
제2절 연구의 시사점 96
제3절 연구의 한계와 제언 98
참고문헌 100
설문지 107
ABSTRACT 112

키워드
조직유효성, 인구사회학적특성
추천0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L사회지식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