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조직사업 역할수행 척도 개발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8-02-23 18:47 조회 3,750회 댓글 0건본문
관련링크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조직사업 역할수행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scale measuring the role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charge of maeulmandeulgi
저자 최종복
발행정보 가톨릭대학교 2017년
초록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를 근간으로 한다. 즉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을 만나고, 관계하고, 조직함으로써 지역사회 문제해결의 주체적인 활동가로 주민들을 성장시키려 노력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주민들과 함께하기 위해 이들을 지지, 격려하며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 마을만들기 사업이 확대되면서, 사회복지사는 보다 전문적으로 지역사회조직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이 무엇이며, 어떠한지를 정립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척도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정도와 이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역할수행에 발전적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연역적 방법으로 문헌검토를 통해 지역사회조직과 마을만들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지역사회조직사업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마을만들기 실천요소와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확인하였다. 이어 귀납적 방법으로 현장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토의하였다. 면접 내용을 토대로 마을만들기 실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문항을 최초 128개로 개발하였다. 이후 현장 사회복지사, 관장, 대학교수 등 총 3차례의 검증과정을 거쳐 최종 71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어 국문법상 오류가 없는지를 확인하고 예비조사를 거쳐 51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의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지 43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먼저 문항분석을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요인 수 채택과정을 실시하고, 이후 요인적재값, 교차적재량, 요인별 문항 수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내적일관성 검증, 측정의 표준오차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고, 이어 기준관련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척도는 1요인 16문항, 2요인 9문항의 총 2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의 전체 신뢰도 cronbach’ α는 .917이다. 척도개발 과정에서의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은 문헌검토 과정에서 4개의 역할수행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나, 현장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는 3개의 유형으로 나타났고, 척도개발과정을 거쳐 최종 확인한 유형은 2개였다. 이론적 검토과정에서 확인된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2개의 역할수행으로 통합되어 실천되고 있었으며 이를 재구조화하여 부여한 요인명은 ‘우호적인 관계 속에서 마을의 작은 일에도 상호 협력하고 지지하도록 권유하기’와 ‘지역사회 어려움을 찾고 논의할 수 있도록 리더십 등 교육과 훈련 제공하기’로 명명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이렇게 개발된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증가시키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무엇보다도 기관 특성인 관장의 지원, 비전과 미션 수준, 교육 시간, 전담인력의 수가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장의 지원이 많을수록,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전과 미션의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조직 등 마을만들기 사업과 관련한 교육 시간이 늘어날수록, 사회복지관에서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전담 사회복지사의 수가 많을수록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은 대졸인 경우, 마을만들기 참여대상층은 노인이 아닌 기타 대상층(아동, 청소년, 여성 장애인 등)의 경우 마을만들기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함의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최초의 척도개발이라는 의의가 있다. 이는 역할수행 척도에 대한 개발의 성과와 함께 마을만들기에 대한 실천 역할을 측정 가능한 척도로써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지역사회조직사업(C.O)에서 Rothman의 지역사회조직모델 3가지 중 지역사회개발모형을 마을만들기가 이론적 근거로 사용하고 있음을 분명히 확인하였고, 또한 지역사회개발모형의 4가지 역할은 현장에서 2가지로 구분되어 통합 실천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천적 함의로는, 먼저, 마을만들기를 실천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관차원의 내부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관장의 지원, 비전과 미션의 수준 향상, 교육의 확대, 담담인력의 증원 등 사회복지관 차원에서 노력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사회조직사업을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다양한 척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가 시발점이 되어 그간 추진하여 오고 있는 다양한 역할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측정 가능한 척도로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아울러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주민들이 협력적 관계를 갖도록 지원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학습,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는 다양한 매개체 개발, 지역사회 주민의 사회자본을 확대하는 노력이 더욱 강구되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8
Ⅱ 문헌고찰 10
제1절 지역사회조직과 마을만들기 10
1. 지역사회조직 및 지역사회조직화의 관계 10
2. 지역사회조직과 마을만들기 15
제2절 지역사회조직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21
1. 실천과정과 단계에 따른 역할수행 내용 26
2. 사회복지사가 주도하는 역할과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 39
제3절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마을만들기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46
1. 마을만들기 실천요소 46
2. 마을만들기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유형 59
Ⅲ 연구 설계 63
제1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3
제2절 연구 절차 64
제3절 연구 대상 68
제4절 분석 방법 68
1. 요인구조 분석 68
2. 신뢰도 평가 69
3. 타당도 평가 69
제5절 타당도 검증도구 71
Ⅳ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의 개발 및 검증 73
제1절 척도 개발 73
1. 문헌 연구를 통한 측정차원의 설정 73
2.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통한 내용 추출 74
3. 문항 개발 및 내용 타당도 91
4. 예비조사 98
5. 본조사 98
제2절 척도 검증 100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00
2. 요인분석 102
3. 신뢰도 124
4. 타당도 127
Ⅴ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정도 및 역할수행 증가요인 133
1.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정도 133
2.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증가시키는 요인 136
Ⅵ 결론 144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44
2. 이론적 함의 153
3. 실천적 함의 156
4. 연구의 한계와 제언 160
Ⅶ 참고문헌 161
Ⅷ 부록,색인,기타 182
Ⅸ 영문 초록(ABSTRACT) 196
키워드
척도개발
사회복지사의 지역사회조직사업 역할수행 척도 개발
Development of the scale measuring the role performance of social workers in charge of maeulmandeulgi
저자 최종복
발행정보 가톨릭대학교 2017년
초록
지역사회복지를 실천하는 사회복지관은 지역사회를 근간으로 한다. 즉 사회복지사는 지역사회에서 주민들을 만나고, 관계하고, 조직함으로써 지역사회 문제해결의 주체적인 활동가로 주민들을 성장시키려 노력한다. 이를 위해 지역사회를 이해하고, 주민들과 함께하기 위해 이들을 지지, 격려하며 정보를 제공하고, 교육을 지원하는 등 다양한 역할을 수행한다. 최근에 마을만들기 사업이 확대되면서, 사회복지사는 보다 전문적으로 지역사회조직을 실천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이 무엇이며, 어떠한지를 정립하고, 이를 구체화하기 위해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척도’를 개발하고자 한다. 또한 개발된 척도를 통해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정도와 이를 증가시키는 요인은 무엇인지를 분석하여 역할수행에 발전적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척도’를 개발하기 위해 연역적 방법과 귀납적 방법을 병행하였다. 먼저 연역적 방법으로 문헌검토를 통해 지역사회조직과 마을만들기의 개념을 이해하고, 지역사회조직사업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마을만들기 실천요소와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확인하였다. 이어 귀납적 방법으로 현장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초점집단면접을 통해,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해 토의하였다. 면접 내용을 토대로 마을만들기 실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문항을 최초 128개로 개발하였다. 이후 현장 사회복지사, 관장, 대학교수 등 총 3차례의 검증과정을 거쳐 최종 71개의 예비문항을 개발하였다. 이어 국문법상 오류가 없는지를 확인하고 예비조사를 거쳐 510명을 대상으로 본 조사를 실시하였다. 서울, 경기지역의 사회복지관을 대상으로 회수된 설문지 433부를 최종 분석에 사용하였다. 요인분석을 실시하기 전에 먼저 문항분석을 실시하였고, 탐색적 요인분석에서는 요인 수 채택과정을 실시하고, 이후 요인적재값, 교차적재량, 요인별 문항 수 등을 기준으로 분석하였다. 그리고 내적일관성 검증, 측정의 표준오차를 통해 신뢰도를 검증하고, 이어 기준관련타당도와 수렴타당도를 통해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최종적으로 개발된 척도는 1요인 16문항, 2요인 9문항의 총 2요인 25문항으로 구성되었으며, 문항의 전체 신뢰도 cronbach’ α는 .917이다. 척도개발 과정에서의 유의미한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은 문헌검토 과정에서 4개의 역할수행 유형으로 구분되었으나, 현장의 사회복지사를 대상으로 한 인터뷰에서는 3개의 유형으로 나타났고, 척도개발과정을 거쳐 최종 확인한 유형은 2개였다. 이론적 검토과정에서 확인된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은 2개의 역할수행으로 통합되어 실천되고 있었으며 이를 재구조화하여 부여한 요인명은 ‘우호적인 관계 속에서 마을의 작은 일에도 상호 협력하고 지지하도록 권유하기’와 ‘지역사회 어려움을 찾고 논의할 수 있도록 리더십 등 교육과 훈련 제공하기’로 명명할 수 있다. 두 번째로 이렇게 개발된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증가시키는 요인을 살펴본 결과, 무엇보다도 기관 특성인 관장의 지원, 비전과 미션 수준, 교육 시간, 전담인력의 수가 중요한 요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즉, 관장의 지원이 많을수록, 마을만들기 사업에 대한 비전과 미션의 수준이 높을수록, 지역사회조직 등 마을만들기 사업과 관련한 교육 시간이 늘어날수록, 사회복지관에서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전담 사회복지사의 수가 많을수록 더욱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은 대졸인 경우, 마을만들기 참여대상층은 노인이 아닌 기타 대상층(아동, 청소년, 여성 장애인 등)의 경우 마을만들기 실천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증가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토대로 한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이론적 함의로, 본 연구는 사회복지사의 역할 수행에 대한 최초의 척도개발이라는 의의가 있다. 이는 역할수행 척도에 대한 개발의 성과와 함께 마을만들기에 대한 실천 역할을 측정 가능한 척도로써 적용할 수 있게 되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또한 지역사회조직사업(C.O)에서 Rothman의 지역사회조직모델 3가지 중 지역사회개발모형을 마을만들기가 이론적 근거로 사용하고 있음을 분명히 확인하였고, 또한 지역사회개발모형의 4가지 역할은 현장에서 2가지로 구분되어 통합 실천되고 있다는 것이다. 실천적 함의로는, 먼저, 마을만들기를 실천하고 있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증진시키기 위해 기관차원의 내부 노력이 필요하다. 이는 관장의 지원, 비전과 미션의 수준 향상, 교육의 확대, 담담인력의 증원 등 사회복지관 차원에서 노력이 중요하다. 또한 지역사회조직사업을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에 대한 다양한 척도 개발이 이루어져야 한다. 본 연구가 시발점이 되어 그간 추진하여 오고 있는 다양한 역할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측정 가능한 척도로 연구 개발되어야 한다. 아울러 우호적인 분위기 속에서 주민들이 협력적 관계를 갖도록 지원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에 대한 학습, 주민참여를 활성화하는 다양한 매개체 개발, 지역사회 주민의 사회자본을 확대하는 노력이 더욱 강구되어야 한다.
목차
Ⅰ 서론 1
제1절 문제제기 1
제2절 연구의 목적 및 연구문제 8
Ⅱ 문헌고찰 10
제1절 지역사회조직과 마을만들기 10
1. 지역사회조직 및 지역사회조직화의 관계 10
2. 지역사회조직과 마을만들기 15
제2절 지역사회조직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 21
1. 실천과정과 단계에 따른 역할수행 내용 26
2. 사회복지사가 주도하는 역할과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 39
제3절 주민주도를 원조하는 마을만들기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46
1. 마을만들기 실천요소 46
2. 마을만들기에서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유형 59
Ⅲ 연구 설계 63
제1절 연구 내용 및 방법 63
제2절 연구 절차 64
제3절 연구 대상 68
제4절 분석 방법 68
1. 요인구조 분석 68
2. 신뢰도 평가 69
3. 타당도 평가 69
제5절 타당도 검증도구 71
Ⅳ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정도를 측정하는 척도의 개발 및 검증 73
제1절 척도 개발 73
1. 문헌 연구를 통한 측정차원의 설정 73
2. 포커스그룹 인터뷰(FGI)를 통한 내용 추출 74
3. 문항 개발 및 내용 타당도 91
4. 예비조사 98
5. 본조사 98
제2절 척도 검증 100
1.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100
2. 요인분석 102
3. 신뢰도 124
4. 타당도 127
Ⅴ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정도 및 역할수행 증가요인 133
1. 마을만들기를 실천하는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 정도 133
2. 사회복지사의 역할수행을 증가시키는 요인 136
Ⅵ 결론 144
1. 연구결과 요약 및 논의 144
2. 이론적 함의 153
3. 실천적 함의 156
4. 연구의 한계와 제언 160
Ⅶ 참고문헌 161
Ⅷ 부록,색인,기타 182
Ⅸ 영문 초록(ABSTRACT) 196
키워드
척도개발
추천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