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 장애인의 영화 장치와 유희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9-02-13 11:51 조회 2,395회 댓글 0건본문
관련링크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장애인의 영화 장치와 유희 경험에 대한 생애사 연구
A life history research on the film apparatus and spiel experience of the disabled
- 저자 장성원
- 발행정보 중앙대학교 | 2018년
-
초록
본 연구는 소수자 장애인의 생애 전반을 살펴보고 생애동안 겪은 소수자 경험에 대한 영화 장치가 연구참여자의 인생에 어떤 의미를 갖는지 도출하기 위해 아감벤의 장치와 벤야민의 우울, 유희의 사유를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이를 위해 독립영화 감독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뇌 병변 장애인을 연구참여자로 선정하여 심층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연구결과를 다음과 같다. 첫째, 연구참여자의 생애주기 영화 장치 이용 경험은 아동기, 청소년기, 청년기로 나뉘어 도출 할 수 있었다. 먼저 아동기의 경우 장애에 따른 신체적, 공간적 제약을 영화 장치를 통해 충족감을 얻고 있었으며, 청소년기의 경우 대인관계와 소통의 욕구를 영화 장치를 통해 충족감을 얻고 있었으며, 마지막으로 청년기는 영화 속에 노출된 장애인의 편견을 인식하고 탈피해야할 필요성을 인식하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영화 제작 미디어 교육을 통해 새로운 인관관계를 형성하고 소통하며 영화를 직접적으로 제작 할 수 있는 계기가 되는 생애 전환점으로 확인 할 수 있었다. 둘째, 영화 장치를 통한 우울의 정서 경험은 타인과의 소통의 부제와 사회적 배제, 편견, 대인관계와 관련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소수자 경험은 연구 참여자의 영화 작품에 영향을 끼쳐 장애인 인권 문제에 대한 사회적 문제점을 영화 장치를 통해 표출하고 있었다. 또한 클로즈업, 롱테이크와 같은 영화적 표현을 통해 단순히 실재를 복제하는 것이 아니라 새로운 예술 작품을 창조하는 유희로서 작용하고 있었다. 세 번째, 연구참여자는 작품 속에 등장하는 장애인을 사회적 배제와 편견의 피해자로 영화적 표현을 하는 것이 아니라 긍정의 가능성을 가진 모습으로 표현하고 있었다. 이를 통해 장애인을 긍정적 가능성을 내포한 존재로 탈바꿈함으로서 세속화 행위와 소수자 실천 가능성을 알아 볼 수 있었다. 나아가 영화를 찍은 제작 동료와 가족, 연구참여자의 영화를 함께 본 관객과의 관계 형성과 영화제 입상 경험을 통해 영화감독으로서 주체를 형성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뇌 병변 장애인이자 독립영화 감독을 직업으로 삼고 있는 특수한 생애를 통해서 소수자 장애인의 창조적 예술가로서 발전 가능성을 모색하였고, 생애사 연구 방법을 통해 한 사람의 생애를 깊이 있게 조망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가질 수 있다.
This study is conducted to draw that what the film apparatus about minority experiences mean in the life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To solve it, concepts of Agamben’s Apparatus, Benjamin’s Melancholy, Spiel reason are applied, and the in-depth interview for the research participants who suffer from brain lesions was execut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research participants’ usage experiences of the film apparatus in life-cycle stages fall into three categories, the childhood, the adolescence, the adulthood. The research participants get the satisfaction of physical and spatial limitations caused by the disability by using some film apparatus in the childhood, and get the satisfaction of desires for the personal relationship and communication in the adolescence. In the adulthood, the last stage, they recognize the necessity of being free from the prejudice against the disabled described in the films. These results mean the media education of film-making can be the turning point of life which gives opportunities of experiencing the new personal relationships, communication, and making films by themselves. Secondly, the experiences of depression from the film apparatus are related to the absence of communication, the social elimination, the prejudice, and the personal relationship. These minorities’ experiences affect the research participants’ films, so that their films express social issues about the human right of the disabled by using the film apparatus. The film expressions, like close-up, long-take, etc., are used in creating the new arts, not simply copying the existence. Thirdly, the research participants express the disabled in the films as people who have the positive possibility. The disabled in the films are not described as the victims of the social elimination and the prejudice. The possibilities for the action of profanazione and the practice of minority are found by transforming the disabled into the persons who have the positive possibility. Also the research participants construct subjects as the film directors by making relationships among colleagues who have taken films together, families, audience, and also by experiencing the prize. Based on these results, this study has the significance that it reviews the development possibility of the minority with disabilities as the creative artists by casting directors of independent films who suffer from the brain lesions. Also in a regard that it conducts the life history research for presenting the life of the disabled in depth, this study has the academic significance.
목차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문제제기 1
- 제 2 절 연구목적 3
- 제 3 절 논문의 구성 5
- 제 2 장 장치와 유희에 대한 이론적 논의 7
- 제 1 절 아감벤의 장치와 주체화 과정 7
- 1. 장치의 배경과 개념 7
- 2. 장치를 통한 주체화 과정 13
- 제 2 절 벤야민의 우울과 유희 사유 15
- 1. 우울의 정서 15
- 2. 유희의 사유 21
- 제 3 장 소수자로서 장애인과 영화 장치 24
- 제 1 절 소수자로서 장애인 논의 24
- 1. 소수자 장애인 개념과 선행연구 24
- 2. 장애인의 소수자적 정체성 31
- 제 2 절 영화 장치에 대한 논의 35
- 1. 영화 장치의 개념과 분석방법 35
- 2. 소수예술로서 영화 장치 39
- 제 4 장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42
- 제 1 절 연구문제 42
- 제 2 절 연구방법 44
- 1. 생애사연구의 방법론적 특징 44
- 2. 연구 참여자 선정과 자료 수집방법 47
- 3. 자료 분석방법 및 신뢰성 검증 절차 51
- 제 5 장 연구결과 52
- 제 1 절 생애주기 과정의 영화 장치 이용경험과 생애전환점 경험 53
- 1. 생애주기 과정에서의 영화 장치 이용경험 53
- 2. 영화 장치 이용과 생애전환 경험 57
- 제 2 절 영화 장치를 통한 우울의 정서와 유희 경험 59
- 1. 영화 장치를 통한 우울의 정서 경험 59
- 2. 영화 장치를 통한 유희 경험 63
- 제 3 절 소수예술로서 영화 제작과 주체화 과정 68
- 1. 소수예술로서 영화 제작 경험 68
- 2. 영화 장치를 통한 주체화 경험 72
- 제 6 장 결론 및 제언 75
- 제 1 절 연구의 요약 및 연구 의의 75
- 제 2 절 연구의 제한점 및 제언 77
- 참고문헌 78
- 부록Ⅰ 연구 소개서 87
- 부록Ⅱ 연구 참여 동의서 88
- 국문초록 8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