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문화 가족과 함꼐 김장 하는 날! 프로그램 >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프로그램 개발과 평가

레포트 다문화 가족과 함꼐 김장 하는 날! 프로그램

페이지 정보

황주희 (211.♡.121.39) 18-02-11 17:33 조회 2,154회 댓글 0건

본문

1. 프로그램 개요
 1) 기간 : 2017년 11월 10일~11월 10일
 2) 장소 : 종합사회복지관 식당
 3) 대상 : 다문화 가족
 4) 예산 : 일금칠십삼만오천백구십육(₩735,196)

2. 프로그램의 목적
우리나라의 대표적인 음식인 김치를 담가 볼 수 있다.

3. 프로그램의 목표
김장체험교실을 열어서 다문화 가족들이 직접 참여하여 김장방법을  배운다.

4. 세부내용
 1) 이론적 필요성
강인자(2011)는 포항 등 경상도 지역과 수원의 다문화 가정 결혼이주여성을 대상으로 한국음식문화에 인식도를 조사하였는데 연령, 학력별로 한국음식을 좋아하느냐와 한국 음식문화 관심도는 세 집단 간의 차이가 없었으며, 한국 음식문화의 어려운 점은 조리법이 47.3%, 음식의 기호도 차이가 25.9%로 나타났다. 본인 나라 음식 섭취 횟수는 ‘1회 미만/월’이 45.6%로 학력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연령 및 거주 지역에서는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다고 보고하였다. 또 한국의 음식문화에 대해서는 주로 누구에게 배우느냐는 연령대, 학력, 거주 지역 모두 시댁 식구에게 국한되어 있어서 한국 음식문화와 식습관에 대한 식 행동의 한계성을 나타내었다고 보고하였다. 또 그 연구에 따르면 김장을 담가 본 경험의 유무에서는 연령, 학력에 따른 유의적인 차이를 나타냈으나, 거주 지역은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김혜영(2012)은 결혼 이주여성의 한국 전통음식에 대한 인식을 세부적으로 연구하였는데 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자국에서 한국음식 섭취 경험에 대해서는 전체 대상자 중 섭취 경험이 있다(72.6%)가 없다(27.4)보다 2.7배 높았다. 또 출신국가별로는 ‘있다’의 경우 베트남(33.7%)이 가장 많았고, 중국 조선족과 일본은 모두 섭취 경험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전통음식 적응소요기간은 ‘1년 이상’(32.1%), ‘6개월~1년 미만’, ‘처음부터
잘 먹었음’은 각각 25.5%,24.5%이고, ‘1개월~6개월 미만’은 17.9%가 응하였다. 출신국가는 ‘1년 이상’에서 베트남(19.8%)이 가장 많았고, ‘6개월~1년 미만’의 경우 베트남, 필리핀 순으로 많았다.
한국 전통음식 적응에 도움을 준 매체에는 시어머님(44.3%), 남편(32.1%)이었으며 한국 전통음식 만족도에 있어서 95.3%가 긍정적으로 생각하는 경우이며, 배우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는 ‘한국 전통요리 무료 교육’이 과반수를 차지하였고, 다음이 ‘다양한 전통요리 체험 기회’, ‘TV 매체를 통한 요리교육’ 순으로 나타나 간접적인 매체 보다는 직접 실습하고 체험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선호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배우고 싶은 한국음식으로는 ‘김치류’(17.9%)> ‘국, 찌개’ > ‘고기요리’ > ‘후식, 간식(약과, 약식, 강정, 다식, 수정과, 식혜, 화채)’> ‘전골, 찜류’> ‘장류(된장, 고추장, 간장)’> ‘나물’순으로 조사되었다.

2) 관련이슈
화북동새마을부녀회, 다문화 가족과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 전개
화북동새마을부녀회(회장 정미순)과 화북동장(김태리)는 지난 4일 회원 2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를 전개했다. 특히 이번 행사에는 중국, 베트남, 필리핀 등에서 온 다문화가족 30여명이 부녀회원들과 함께 한국 전통음식인 김치를 담가 어려운 이웃 100여 가구에 김장을 전달했다.
특히 언어와 문화가 다른 다문화 이주여성에게 한국의 음식문화와 풍습 등을 알려주는 계기가 되었으며, 서로가 따뜻한 이웃의 정을 나누는 행복한 시간을 가졌다화북동새마을부녀회(회장 정미순)과 화북동장(김태리)는 지난 4일 회원 20여명이 참여한 가운데 사랑의 김장 나눔 행사를 전개했다.
추천0 비추천 0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L사회지식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