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페이지 정보
이민훈 (211.♡.121.43) 18-03-10 09:39 조회 1,115회 댓글 0건본문
관련링크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The Identity of Korean Social Welfare
- 저자
- 나병균
- 학술지정보
- 한국사회복지교육 한국사회복지교육협의회 2013년
초록
이 글은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을 규명하는데 궁극적인 목적이 있다. 그 초기 작 업으로서 이론 정립의 가능성을 탐색해 보았다. 대개의 경우 “학”에는 “이론”이 있다. 그러나 한국 사회복지학은 일관된 이론이 부재한 상태에서 느슨한 형태의 사회과학으로 존재하여 왔다. 한국 사회복지학의 정체성 규명을 위하여 본고에서는 1990년대부터 2000년대 초반의 기간에 걸쳐 한국 사회복지학회와 한국 사회복지교육 협의회를 중심으로 전개된 바 있 는 논의들을 분석하고 이를 개념화하였다. 그 결과, 현재까지의 논의에서 일정 수준의 공감대가 형성된 것은 사회복지학의 개념이 (연구자 혹은 사회복지 종사자 집단에서) 제도론과 전문기술론의 2원적 정합 혹은 사회복지실천론, 지역사회복지론, 사회복지정책 론의 3원적 정합구조로 인식되고 있다는 것이다. 사회복지학은 반드시 이론을 필요로 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그러나 독립과학으로 의 발전을 위하여 이론의 개발은 필요한 조건이다. 이런 점에서 일본에서 있었던 사회 복지 논쟁의 경험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점이 많다. 한국 사회복지학의 이론 정립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 방법론과 사회복지정책론 이 론들 각각의 단절을 극복하려는 노력이 요구되며 이것은 구조주의와 행동주의 이론의 접근을 주도하는 세계 사회과학의 학문적 도움을 통하여 가능할 수 있다는 점을 알게 되었다. 결론으로 제시하고자 하는 것은 필자가 생각하는 한국 사회복지학 이론의 밑그림이 다. 사회(복지)권, 연대주의, 역량강화, 제도론(사회복지 법제)과 전문직론(사회복지실천) 등의 용어가 동원되었다. 본고는 시론적 성격의 글로서 비록 미진하지만 학계의 사회복지학 정체성에 대한 논 의의 활성화를 촉구하는 의도에서 작성된 것임을 밝힌다.
목차
- Ⅰ. 서론: 문제제기
- Ⅱ. 본론
- Ⅲ. 결언
- <참고문헌>
키워드
한국사회복지학, 정체성, 사회복지실천, 사회복지정책, 사회, 복지권, 연대, 주의, 역량강화, Korean Social Welfare, Identity, Social Work Practice, Social Welfare Policy, Social, Welfare Right, 사회복지권, 연대주의, Social (Welfare)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