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적장애학생의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 논문 창고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논문 창고

학위논문 지적장애학생의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페이지 정보

사회복지연구소 18-02-26 11:20 조회 2,635회 댓글 0건

본문

SL사회복지연구소 http://www.welfarestory.com 에서는 다음과 같은 정보를 공유합니다.

지적장애학생의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Perception of Teachers on Human Rights and Education for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저자 이승학
발행정보 대구대학교 2017년

초록
본 연구는 지적장애학생의 인권과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설문조사를 실시하는 양적 연구 방법으로 연구의 목적을 밝히고자 하였다. 연구의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지적장애학생의 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존엄과 의사존중, 차별과 교육권, 자유권과 보호권 등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먼저 존엄과 의사존중을 살펴보면, 인권 중에서도 기본권인 존엄과 인지에 제한이 있어 자기표현에 어려움을 겪는 지적장애학생의 의사존중에 대한 교사의 인식이 다른 영역에 비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차별과 교육권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법의 제정과 다양한 제도의 정비로 인해 많이 개선되었음을 알 수 있다. 그러나 특히 차별의 경우 통합교육 환경에서 인식이 낮게 나타났다. 자유권과 보호권을 살펴보면 전체 영역 중 가장 높게 나타나 지적장애학생을 교육하는 교사가 학생의 다양한 특성을 인정하고 수용함을 알 수 있다. 둘째, 지적장애학생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을 교육 요구, 교육 여건, 교육 방법 등 세 측면에서 살펴보았다. 우선 교육 요구를 살펴보면, 발달과 참여에 있어 대체적으로 인식이 높다. 교육 여건을 살펴보면, 생존과 발달에 있어 편의시설 설치 실태가 여전히 낮다. 마지막으로 교육 방법을 살펴보면, 전체와 개별화에 있어 전체의 경우 학교급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급이 올라갈수록 전체에 대한 인식이 낮았는데, 그 이유를 분석하면 교육과정이 심화될수록 지적장애학생이 교육과정을 그대로 이수하기에 어려움이 있기 때문이다. 개별화의 경우 과정별에 따른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는데, 일반교사의 대학 교육과정과 교직 경험에서 양적·질적인 차이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육 현장에 바로 적용할 수 있도록 지적장애학생의 인권보장을 위한 정책 제언과 교육 과제들을 제시하였다. 이 연구 자료들이 교육기관에서 재구성되어 교육 현장에서 지적장애학생의 인권을 보장하고 지적장애학생을 교육하는 교사의 장기적이고 지속적인 인권 의식 향상과 실천을 통해 궁극적으로 지적장애학생의 자아실현과 사회통합에 긍정적으로 기여하기를 바란다.

The purposes of this study are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 on human rights and education for human right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urvey was conducted as the quantitative research to draw conclusion of this study. First, the survey included questions on three different categories to determine the level of teachers’ perception on human rights of the students: dignity and respecting one’s wishes, discrimination and education rights, freedom and protection rights. When compared to other areas, teachers shows low awareness on dignity and rights to be respected of the students, who tend to experience difficulties in developing self-expression due to their limited cognitive development. The survey result on discrimination and education rights has improved due to enactment and alignment of relevant law system. However, the awareness on discrimination is particularly low for teachers in integrated education environment. The perception regarding rights of freedom is highest among all areas, showing that teachers who teach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recognize and accept various characteristics of students well. Second, teachers’ perception on human rights education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as evaluated in three different aspects: educational needs, educational condition, and education method. For educational needs, teachers’ awareness on development and participation is fairly high. The educational condition is still low regarding survival and development, with not enough facilities installed. Lastly, for the education method, there are significant gap in universalization depending on the level of study. The reason for this is that the more the curriculum is advanced, the more difficult it i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to complete the curriculum of their level. In the aspect of individualization, there are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courses, interpreted as the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differences in the general education teachers’ received education level and teaching experience. The suggestions and educational tasks to protect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presented so that they can be applied directly to the field. My hope is for this study to be utilized by relevant educational institutions as meaningful data to protect human right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classroom, help them attain self-realization, and eventually contribute to social integration through long-term and continuous improvement of teachers’ perception on human rights and their practice.

목차
Ⅰ. 서 론 1
1. 연구 의의 1
2. 연구 목적 5
3. 용어의 정의 6
Ⅱ. 이론적 배경 7
1. 장애학생의 인권 7
2. 장애인 인권의 법적·제도적 보장 14
3. 지적장애학생 인권교육 실태 16
4. 장애인 인권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26
Ⅲ. 연구 방법 30
1. 연구 대상 30
2. 연구 도구 32
3. 연구 절차 34
4. 자료 처리 34
Ⅳ. 연구 결과 36
1. 지적장애학생의 인권에 대한 교사의 인식 36
2. 지적장애학생의 인권교육에 대한 교사의 인식 52
Ⅴ. 논의 68
1. 방법의 논의 68
2. 결과의 논의 70
Ⅵ. 결론 및 제언 78
1. 결 론 78
2. 제 언 79
참고문헌 80
영문초록 93
〔부록 1〕 95
추천0

SNS 공유

  • 트위터로 보내기
  • 페이스북으로 보내기
  • 구글플러스로 보내기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SL사회지식연구.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