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위논문(박사)

창업지원제도가 대학생의 기술창업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The Study on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affecting the Technology-Based Start-up of University Students

저자
김성욱
발행정보
부경대학교 2017년
피인용횟수
0
자료제공처
국회도서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주제분야
미분류
초록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the university students’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 on technology-based start-ups. Foundation, also known as “start-up”, involves the total progressive activities that contribute to the growth and the development of society, economy and culture. It is increasingly recognized as a concept that encompasses the means of creating new value areas and restructuring the knowledge-based economy. For small-scale start-ups to grow to a certain level,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 is an important factor in conjunction with the abilities of the entrepreneur, superiority of the product, market demand, and timeliness.
Institutional measures for start-ups include support for the individual entrepreneur, as well as assistance in areas of high uncertainty such as the discovery of entrepreneurs, the development of the entrepreneur’s skills, the provision of funds, and the role of safety nets in the case of start-up failure. The main subject in this study is the influence of Leading Universities for Start-Up Business Program, one of the largest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s in Korea,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university students. This study contains both quantitative and qualitative research.
The quantitativ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Entrepreneurial education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However, entrepreneurial concept development support had no positive effect on the entrepreneurial intention.
2) Entrepreneurial education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In addition, entrepreneurial concept development support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3) Both entrepreneurship and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had a positive effect on entrepreneurial intention.
4) Entrepreneurship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support, entrepreneurial concept development suppor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Furthermore,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ntrepreneurial education support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5) The participation factors had a partial moderating effect.
Also, Qualitative research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1) Research participants regarded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 (Leading Universities for Start-Up Business Program) as important for alleviating the irrationality and dissatisfaction in the current situation.
2) Leading Universities for Start-Up Business Program as the first step toward entrepreneurship, had influences on various factors such as satisfying the needs of the entrepreneur, acting as a catalyst for entrepreneurship, and providing a link to actual entrepreneurship.
3)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 (Leading Universities for Start-Up Business Program) had a significant impact on the increase in entrepreneurial intention of participants and on the manifestation stage. It was found that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and entrepreneurial intention increased together in the process of the start-up materializing through the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 and as the ideas possessed by the university students, and their products took shape visually.

Keywords : Entrepreneurship Support Program, Leading Universities for Start-up Business Program, Technology-Based Start-up, Entrepreneurial Intention, Entrepreneurship, Entrepreneurial Self-Efficacy

목차
  • 표제지
  • 목차
  • Abstract 10
  • I. 서론 12
  • 1. 연구의 배경과 목적 12
  • 2. 연구의 범위와 방법 14
  • II. 이론적 배경 및 선행연구 16
  • 1. 창업의 개요 16
  • 가. 창업의 개념 16
  • 나. 창업의 유형 18
  • 2. 창업의지 및 창업효능감 21
  • 가. 창업의지 21
  • 나. 창업효능감 24
  • 3. 기업가정신 25
  • 가. 기업가의 개념 25
  • 나. 기업가정신의 개념 26
  • 다. 기업가정신의 구성요소 28
  • 4. 창업지원제도 31
  • 가. 정부 창업지원의 특성 31
  • 나. 대학 창업지원의 특성 45
  • 다. 국외의 창업지원 프로그램 52
  • 5.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55
  • 가.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시행배경 및 목적 55
  • 나.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주요 프로그램 56
  • 다.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운영 현황 56
  • III. 연구설계 58
  • 1. 연구모형 58
  • 2. 연구가설 61
  • 가. 창업지원제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 61
  • 나. 창업지원제도와 창업효능감 및 기업가정신 간의 관계 61
  • 다. 창업효능감 및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 62
  • 라. 창업효능감 및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62
  • 마. 창업지원제도 참여요인의 조절효과 63
  • 3. 변수의 조작적 정의 64
  • 가. 창업지원제도 64
  • 나. 창업효능감 66
  • 다. 기업가정신 66
  • 라. 창업의지 67
  • 마. 참여요인 68
  • 바. 전체 변수의 조작적 정의 69
  • 4. 조사 및 분석 방법 70
  • 가. 양적연구 70
  • 나. 질적연구 71
  • IV. 연구 분석 및 결과 74
  • 1. 양적연구 74
  • 가. 조사설계 74
  • 나. 요인분석 및 신뢰도분석 76
  • 다. 기술통계 및 상관관계 분석 79
  • 라. 가설검증 81
  • 마. 연구결과의 요약 99
  • 2. 질적연구 100
  • 가.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참여 대학생의 의미구조 100
  • 나.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참여자의 경험과 의미 분석 101
  • 다. 연구결과의 요약 110
  • 라. 양적연구 결과 기각된 가설의 재해석 112
  • V. 결론 116
  • 1. 전체 연구결과의 요약 116
  • 2. 시사점 및 제언 120
  • 3.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과제 122
  • 참고문헌 124
  • 부록_설문지 143
  • 표목차
  • 〈표 1-1〉 창업선도대학 사업 수행대학과 비수행 대학 현황 비교 14
  • 〈표 2-1〉 창업제외업종(중소기업창업 지원법 및 동법 시행령) 19
  • 〈표 2-2〉 기술력과 산업성장도에 따른 기업 유형 20
  • 〈표 2-3〉 기업가에 대한 연구자별 정의 26
  • 〈표 2-4〉 학문별 기업가정신의 관점 27
  • 〈표 2-5〉 기업가정신의 7가지 관점 28
  • 〈표 2-6〉 2017년 창업지원사업(중앙부처) 33
  • 〈표 2-7〉 창업자금의 유형 36
  • 〈표 2-8〉 창업강좌의 유형 38
  • 〈표 2-9〉 창업아카데미 학점인정형 창업강좌 커리큘럼 구성 42
  • 〈표 2-10〉 창업아카데미 일반인 창업교육 구성 42
  • 〈표 2-11〉 창업학과 개설 현황 48
  • 〈표 2-12〉 창업강좌 개설 현황 48
  • 〈표 2-13〉 창업공간 제공 현황 및 전망 50
  • 〈표 2-14〉 연도별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선정 및 탈락현황 57
  • 〈표 3-1〉 창업지원제도의 조작적 정의와 출처 65
  • 〈표 3-2〉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프로그램 구분 65
  • 〈표 3-3〉 창업효능감의 조작적 정의와 출처 66
  • 〈표 3-4〉 기업가정신의 조작적 정의와 출처 67
  • 〈표 3-5〉 창업의지의 조작적 정의와 출처 68
  • 〈표 3-6〉 참여요인의 조작적 정의와 출처 68
  • 〈표 3-7〉 전체변수의 조작적 정의와 출처 69
  • 〈표 4-1〉 연구참여자의 인구통계학적 특성 75
  • 〈표 4-2〉 연구참여자의 전공 및 창업 관련 특성 76
  • 〈표 4-3〉 외생·내생변수의 요인분석 및 신뢰도 분석 결과 78
  • 〈표 4-4〉 연구표본의 기술통계량 79
  • 〈표 4-5〉 상관관계 분석결과 80
  • 〈표 4-6〉 창업지원제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2
  • 〈표 4-7〉 창업지원제도와 창업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3
  • 〈표 4-8〉 창업지원제도와 기업가정신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5
  • 〈표 4-9〉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6
  • 〈표 4-10〉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7
  • 〈표 4-11〉 창업효능감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89
  • 〈표 4-12〉 기업가정신의 매개효과 검증 결과 90
  • 〈표 4-13〉 조절효과 검증을 위한 그룹화 91
  • 〈표 4-14〉 창업효능감이 매개변수인 활동지향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92
  • 〈표 4-15〉 창업효능감이 매개변수인 목표지향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93
  • 〈표 4-16〉 창업효능감이 매개변수인 학습지향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94
  • 〈표 4-17〉 기업가정신이 매개변수인 활동지향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96
  • 〈표 4-18〉 기업가정신이 매개변수인 목표지향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97
  • 〈표 4-19〉 기업가정신이 매개변수인 학습지향의 조절효과 검증 결과 98
  • 〈표 4-20〉 양적연구 결과 요약 99
  • 〈표 4-21〉 연구참여자의 특성 100
  • 〈표 4-22〉 창업선도대학 육성사업 참여경험의 의미구조 101
  • 〈표 4-23〉 참여자의 창업의지 영향요인 111
  • 〈표 4-24〉 양적연구 결과 기각 가설 112
  • 〈표 4-25〉 참여자의 창업효능감 및 창업의지에 영향을 준 주요 프로그램 114
  • 〈표 5-1〉 (일부)채택된 가설(양적연구 기준) 117
  • 〈표 5-2〉 기각된 가설(양적연구 기준) 117
  • 〈표 5-3〉 단계별 대학생 창업지원 프로그램 구성예시(안) 119
  • 그림목차
  • 〈그림 2-1〉 Ajzen(1991)의 계획행동이론 22
  • 〈그림 2-2〉 Shapero and Sokol(1982)의 창업이벤트 모델 23
  • 〈그림 3-1〉 Kraaijenbrink et al.(2010)의 연구모형 59
  • 〈그림 3-2〉 Saeed et al.(2015)의 연구모형 59
  • 〈그림 3-3〉 본 연구의 연구모형 60
  • 〈그림 3-4〉 Giorgi의 현상학적 분석 방법 72
  • 〈그림 4-1〉 창업지원제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2
  • 〈그림 4-2〉 창업지원제도와 창업효능감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4
  • 〈그림 4-3〉 창업지원제도와 창업의지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5
  • 〈그림 4-4〉 창업효능감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6
  • 〈그림 4-5〉 기업가정신과 창업의지 간의 관계 분석 결과 87
참고문헌

조회 가능한 데이터가 없습니다.
해당 참고문헌을 고객센터를 통해 등록해주시면
빠른 시간안에 노출하겠습니다.

view options
맨위로

미분류 분야
피인용 상위 학술지